WCF 설정을 위한 환경 세팅

wcf-set1

이 문서는 IIS 6을 기준의 WCF 설정 내용이지만 IIS 7도 이와 유사합니다. 사전지식을 위한 문서를 먼저  SOA (서비스지향아키텍쳐)의 정의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IIS 6 메타베이스 및 IIS 6 구성 호환성 및 ASP.NET 설치 1.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Windows 기능 사용/사용안함 선택 2. 인터넷 정보서비스 -> World Wide Web 서비스 -> 응용 프로그램 개발 … 자세히 보기

RSS 서비스 방법

rss-service

RSS란 RSS(Rellay Simple Syndication or Rich Site Summary) 는 뉴스 Site 나 블로그 처럼 자주 갱신되는 Site 의 내용을 Feed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파일 형식 (정보의 배급, 배포, 수집에 관한 표준 포맷) 입니다. RSS 서비스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고 이용자가 관리 가능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습니다. SOA 형식의 서비스와 연동하여 … 자세히 보기

Azure DevOps 팀 프로젝트에 자동 빌드 및 배포

mPS4PcK

MS에서는 소스저장소와 클라우드저장소​를 제공하며, 프로젝트 팀원들과 협업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여러가지의 프로그래밍언어(JAVA, C#, PHP 등)​를 지원 하지만, 예제에서는 ASP.NET​입니다. 1. 소스 저장소 + 로컬 저장소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https://dev.azure.com/   생성된 프로젝트를 클릭하고 Repos -> Files > Clone 클릭 IDE를 선택하고 복사를 합니다. (저장소가 복제된 모습) 솔루션 – 새로 만들기를 눌러서 새로운 솔루션을 만듭니다. 여기선 ASP.NET … 자세히 보기

SaaS와 Windows Azure의 구성

saas0

요즘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중화 되어 있는 가운데 Microsoft사의 정책은 솔루션 보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초점을 더 맞추고 있습니다. MS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는지 그 결과로 MS Azure 서비스는 2018년 기준으로 매출이 98%나 성장하였고 오피스 365도 41% 매출이 상승하였다는 기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서비스 기반의 소프트웨어인 클라우드 서비스와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인 Azure를 … 자세히 보기

웹 접근성과 반응형 웹

wamark

근래에 구축되고 있는 웹 사이트는 모두 웹 표준을 준수하면서 웹 접근성 방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에서도 요 몇년 사이 이런 트랜드를 접목시켜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웹 표준이란 W3C (World Wide Consortium)에서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든지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도록 웹문서의 구조와 표현 그리고 동작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 자세히 보기

SOA (서비스지향아키텍쳐)의 정의

soa

닷넷(.NET)출현 이후 많은 개발자들은 WCF(Window Communication Foundation) 를 단순히 웹서비스의 일종(ASMX[ASP.NET WEB SERVICE] 나 WSE[WEB SERVICE ENHANCEMENT]) 이나 확장형으로 인식을 했습니다. 물론 본인 또한 단순히 그렇게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나 조금씩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안되는 책을 조금씩 읽어나가면서, 역시나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무엇보다 서비스란 말에 대해서 정의를 새로 내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SOA 정의에 대해서 한번 알아봐야겠습니다.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