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WordPress) 사용법

 

본 블로그를 구축하면서 굉장히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를 블로그로 사용할 수 있었겠지만 아무래도 서비스 회사에 종속적인것이 싫어서 웹사이트를 구축해보자 하고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부족한 웹 프로그래밍 실력으로 공부하면서 사이트를 구축하려 했으나 웹 표준 준수나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생각할 것이 너무 많았습니다.

그러던 차에 워드프레스(WordPress)라는 웹 사이트 저작도구에 대해서 언듯 들어본 기억을 꺼내서 잠시 공부하여 본 hello’s world! 라는 블로그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약간의 전산지식이 있다면 손쉽게 만들수 있도록 되어있고 커스트마이징이 매우 자유로운것에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아래로 워드프레스 사용법에 대하여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놓은 것으로 다른 분들도 나중에 필요하실때 참조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 전세계 웹사이트의 1/5이 사용

워드프레스란 오픈소스 CMS 중 하나다.  쉽게 생각하면 오픈소스 블로그 혹은 홈페이지 저작 소프트웨어라고 보면 된다.

해외홈페이지 중 22%이상이 워드프레스로 제작될 정도로 인기가 높으며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아  블로그 혹은 기업의 홈페이지로 만들어 이용할 수 있다.

워드프레스의 장점은 사용자 컴퓨터 및 테블릿, 모바일에서도 같은 내용을 볼 수 있는 반응형 웹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html을 몰라도 몇번의 클릭이나 드래그 앤 드롭으로 사이트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더구나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다양한 플러그인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워드프레스형 홈페이지 일반 홈페이지 비교

구분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일반 홈페이지
직접구축 쉬움 어려움
개발자 필요없음 필요함
유지보수 쉬움 추가비용 발생
SNS 연동 플러그인 추가비용 발생
관리자 메뉴 대시보드(알림판) 추가비용 발생
게시판 워드프레스형 게시판 추가비용 발생
로그인 워드프레스 로그인 추가비용 발생
속도 조금느림 빠름

워드프레스의 장점

1.간단한 인터페이스로 누구나 쉽게 홈페이지 가능.

2.검색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구글검색 최적화.

3.웹표준에 적용(IE,크롬,사파리, 파이어폭스), 모바일에서 최적화.

4.수많은 테마, 플러그인 사용가능.

5.초기 비용이 매우 저렴. (유료테마 $40~60 정도, 무료호스팅 이용가능)

6.댓글이 달리면 이메일로 알려주는 기능, 스팸 차단 가능.

7.SNS연동이 쉽고 편리.

8.홈페이지 운영이 쉽다.

9.널리 이용하기 때문에 자료가 많다.



워드프레스의 단점

1.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할시 php,html,css의 지식이 필요.

2.한글팩이 100% 지원이 안됨.

3.플러그인 과다 설치시 속도가 많이 떨어짐.

사전준비 및 서버환경세팅

1. 워드프레스 한글버전 다운로드   http://ko.wordpress.org/

2 .Apmsetup 다운로드                 http://www.apmsetup.com/apminfo.php

wp1

DB 환경설정

1.apmsetup실행 > MySQL 관리

2.Mysql 로그인 (아이디 root/ 패스워드 apmsetup)

3.데이터 베이스 생성을 생성합니다.

4.MySQL localhost > 새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 wordpress 라고 입력합니다.

wp2wp3

로컬 환경설정

1. 로컬 디스크의 Apmsetup > htdocs 폴더에 워드프레스 파일을 붙여넣습니다.

2.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 주소로 접속해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wp5

3. 사용자 명과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wp4

모든 작업을 완료 하고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초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생각보다 세팅도 너무 간단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wp7
워드프레스 초기화면

워드프레스(WordPress) 사용법에 대한 1개 댓글

  1.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지난 몇 년 사이에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많이 증가한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코딩 지식이 있는 사용자와 부족한 사용자 모두 사이트를 구축하기에 알맞은 것 같습니다. 코딩 지식이 부족한 경우 플러그인에 의존하게 되어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심플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굳이 플러그인을 많이 설치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응답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