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 인증 방법 및 절차

GoodSoftware min

 

 

 

 

 

GS(Good Software) 란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품질인증기관(TTA)에서 종합적인 시험을 통한 품질 검사를 거쳐  좋은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공인하여 주는것으로서 인증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신뢰 및 여러 제도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GS 인증 방법 절차와 팁을 간략하게 소개 합니다.

GS인증 시 중심적인 업무는 시험을 위한 SW 및 매뉴얼 입니다.

그외 현장심사를 위한 서류, 심사 완료 후 제출해야할 서류등 작업이 있습니다.



1. GS시험 신청을 신청합니다.
2. 인증기관과 인증 받을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상담을 합니다.
3. 계약서 및 시험 합의서를 작성합니다.
4. 품질시험 평가

0) 시험환경 요청
– 실운영환경에 맞게 아래의 시험 환경을 구성하여 문서로 제출합니다.
– 소프트웨어의 DBMS Version.
– 서버 기반의 소프트웨어라면 Server 및 Client OS 환경.

1) 제품 셋업 및 설치본
– TTA 시험 장비에 설치 전 사전 사내 장비에 설치 및 확인이 필요합니다.
– 시험 일정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계획을 하여 준비합니다.
+ 실서버 셋업 준비 과정이라고 생각 하고 운영 환경과 동일하게 세팅합니다.

2) 사용자 지침서 혹은 매뉴얼
– 시험 가능한 영역 만 매뉴얼을 준비하여 인증기관에서 매뉴얼을 참조하여 시험 할 수 있게 합니다.
– 시험 불가능한 영역은 매뉴얼에서 제외해야합니다.
– 당연한 말이지만 프로그램과 매뉴얼 일치 시킬 필요성이 있습니다.
– 지침서 혹은 매뉴얼상의 제품명은 일관성을 유지 하여야 합니다.
– FAQ 작성 필요 : 프로그램 사용 도중 발생 할 수 있는 오류의 증상과 해결 방법 등 제공 해서 원활한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제품 운영을 위한 고객지원 정보 필요 : 고객지원팀등의 연락처를 기재하여 시험 도중 테스터의 문의사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제품의 공급자 정보를 기재 합니다.

3) 결함리포트 및 패치
– 인증기관에서 테스트 후 결함 리포트를 받아 결함패치 및 결함 리포트 결과 작성 후 GS 테스터에게 다시 통보합니다.
– 결함패치 후 테스트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업데이트 되었는지 확인 후 새버전 빌드해서 다시 배포해야 인증기관에서 버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4) 심사 도중 이유 없이 패치는 가급적 지양 해야 합니다.

5. 현장심사

– 현장 심사 서류 를 작성 합니다.
– 현장 심사 시 TTA 담당자와 면담을 진행 하면서 최종 현장심사자료를 작성하게 됩니다.
– 최종 심사 시 필요한 산출물을 준비 합니다.
+ 현장심사자료 작성 시 사내에서 관리하는 사업관리 절차와 함께준비 합니다.
+ GS 인증 심사 제출(이전 개발 산출)물을 포함시킵니다.

6. 제품 홍보자료준비

– 인증을 받고 GS 저널에 게재될 제품 홍보자료를 작성합니다.
– 샘플 양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거기에  참조해서 작성 하면 됩니다.
– 품질 시험이 종료되는 시점에 시스템 Open 준비 등으로 바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시험 평가 시 사전에 준비 해놓는게 좋습니다.

그밖에 사항은  TTA(소프트웨어 시험인증연구소) 을 방문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GS 인증 방법 및 절차에 대한 3개 댓글

  1. 안녕하십니까? 저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이강희라고 합니다.
    저희가 아래와 같이 GS 인증을 진행하고자 하여 아래 항목을 공유 및 문의 드립니다.
    1.대상 제품 정보
    – 제품명 : connect always (고객 상담 지원)
    – 플랫폼 : Web, mobile
    – 개발 환경 : Java, Javascript, VueJS, RDBMS(MySQL)
    2. 질문 사항
    – 신청 후 심사 대기 시간(저희는 8월 심사 희망)

    응답
    • 본문 하단 TTA 소프트웨어 시험인증연구소링크로 접속하셔서 문의하시면 될 것같습니다.

      응답
  2. GS인증 준비하고 있었는데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선생님이 GS인증 컨설팅 기관 담당자? 이신가요???

    단순 성능평가만 해본 경험이 있고, GS인증은 더 어렵다?라고만 들어서 쫄고 있었거든요 ㅠㅠ
    성능평가는 input 뭐고 예상 output 뭐니까 이대로 해라 라고
    하는정도면 되는데

    GS인증 시에도, 일반사용매뉴얼 + 예상 input output을 전부 적어서 줘야될까요…? 물론 내부테스트시 QA문서에 몽땅 case별로 적긴 하지만요
    => 매뉴얼을 어디까지 적어야 하나… 일반 사용자 용으로 적어줘도 되는가
    => 매뉴얼을 적어보면, 자기 맘대로 입력을 해보고 error사항을 모두 패치해야 하는가?

    매뉴얼 내용을 어디까지 적어야 하는지가 제일 걱정이어서 문의드립니다. 혹시 GS인증 실무경험이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응답

댓글 남기기